수도권 60%, 운영자 20~30대가 65%…유령트럭 논란 속 수익확보, 영업장소 발굴 주목
지난해 6월 26일 저녁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16서울밤도깨비야시장이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 사진=뉴스1
푸드트럭이 합법화 3년 만에 448대로 늘었다. 이중 60%가 수도권에서 활동 중이었다. 20~30대 운영자가 65%에 달했다. 올해 안에 푸드트럭 숫자는 650여대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고만 해놓고 영업에 나서지 않는 유령트럭 논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안정적인 수익확보와 영업장소 발굴이 숙제가 되리라는 지적이다.
14일 국무조정실과 식품의약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3월로 합법화 3년을 맞는 푸드트럭이 전국적으로 448대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268대로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수도권 바깥에서는 경남(63대, 14%) 내 트럭 숫자가 많았다.
국무조정실이 지자체를 대상으로 올해 푸드트럭 도입 계획을 조사한 결과 204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안에 전국적으로 푸드트럭이 650여대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수도권에서는 현재보다 118대가 늘어난 384대가 올해 안에 영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에서의 확장사(102대→132대)가 도드라진다.
푸드트럭 합법화는 2014년 3월 제1차 규제개혁 장관회의에서 차량개조 사업가의 건의를 현장에서 수용하면서 시작됐다. 합법화 초기 여론은 좋지 않았다. 영업장소가 유원시설로 한정된 탓이 컸다.
이후 2015년 10월 영업장소가 도시공원, 관광단지, 졸음쉼터, 공용재산 등 8개소로 확대됐다. 또 지자체가 조례로 정하는 장소에서도 영업이 가능해졌다. 이듬해 7월에는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이동영업이 허용됐다. 또 인허가 절차가 간소화 돼 온라인 영업신고가 가능해졌다. 이 덕에 2015년 30대가 참가하던 서울 밤도깨비 축제는 올해 132대로 대폭 참여규모가 커졌다.
하지만 빛만 가득한 건 아니다. 지난해 10월 인재근(재선·도봉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약처와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총 1021대의 푸드트럭이 구조변경을 신고했지만 296대만이 실제 운영 중으로 드러났다. 70% 넘는 트럭이 유령 푸드트럭인 셈이다.
이에 대해 당시 인 의원은 “이동 영업 신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시스템의 구축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영세한 사업자들이 합법적으로 운영할 수 시스템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지난달 30일 기자와 인터뷰한 푸드트럭 창업자 임재원 GOPIZZA(고피자) 대표도 “‘잘되니까 나도 해봐야지’ 해서 뛰어들면 당연히 실패할 수밖에 없다. (실패하면) 장사할 곳이 없어서 주차장에서 놀아야 한다. 경쟁이 치열하고 갈 수 있는 행사와 대형 이벤트도 한정적이다. 시작을 할 때는 분명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었다.
당국은 안정적인 수익확보와 영업장소 발굴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국무조정실과 식약처는 “서울 서초구, 수원시 등의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타 지자체까지 이동영업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라며 “안정적 수익이 가능한 영업장소 발굴과 보급을 위해 관계부처, 지자체, 사업자가 협업해 지역축제, 전통시장 등과 연계한 사업모델 등을 발굴‧보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http://www.sisajournal-e.com)
GOPIZZA INDIA PRIVATE LIMITED
Registered Office: No. 850/5/1/, 60 Feet Road, 8th Main, Sahakarnagar, Bengaluru, 560092
Corporate Office: 2nd Floor, No 2257, Kodigehalli, Kothihosahalli, Byatarayanapura Village, Yelahanka Hobli, Sahakarnagar, Bengaluru, 560092
Email: hq@gopizza.in
GSTIN: 29AAHCG6289P1ZJ